메뉴 건너뛰기

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

강서대학교 대학원

교수 소개

사회복지대학원 교수 소개

  • 은선경 교수사진

    은선경 Un Sun-Kyoung

    전공
    사회복지학
    학위
   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
    직위
    조교수
    보직
    일반대학원장
    전화
    (학교) 02-2600-2545
    메일
    skun@gangseo.ac.kr
    VIEW MORE >
    전공 및 학위
    • - 2010. 2.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졸업(사회복지학박사 / 사회복지실천전공)
    • - 1998. 8.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졸업 (문학석사 / 사회사업방법론전공)
    • - 1995. 2.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졸업(문학사)
    경력
    • - 2013. 3. ~ 현재 강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
    • - 2009. 3. ~ 2013. 2. 백석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조교수
    • - 2004. 3. ~ 2008. 2.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겸임교수
    • - 2000. 12. ~ 2002. 4. 사회복지법인 월드비전 사업본부
    • - 1998. 3. ~ 2000. 8. 인천광역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
    • - 1996. 8. ~ 1996. 12.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수련활동실
    • - 1994. 11. ~ 1996. 7. /1997. 1. ~ 1998. 2. 서울특별시립 보라매청소년수련관 상담실
    연구 및 저서
    • - 은선경,김혜선(2022).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현장실습 내실화를 위한 사례연구. 한국사회복지교육, 60, pp.209-243.
    • - 은선경(2020).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,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21(8), pp.359-369.
    • - 은선경(2020). 중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의 학업성취수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,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21(6), pp.611-617.
    • - 은선경(2020).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. 한국산학기술학회지, 21(4), pp.210-217.
    • - 은선경 (2016).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17(10), pp.685-695.
    • - 은선경 (2016). 국제사회복지 역량중심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17(9), pp.508-518.
    • - 은선경 (2016). 장애정도에 따른 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. Crisisonomy, 12(10), pp.49-65.
    • - 은선경, 송인석(2014). 고등학생의 비주장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: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매개효과와 폭력의식화의 조절효과.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, 42, pp.51-77
    • - 은선경, 박효진(2014). 사회복지전공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: 문화적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한국사회복지교육, 25, pp.1-26.
    • - 은선경(2014). 사회복지학부 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. KCU교수논문집, 13, pp.181-201.
    • - 박효진, 은선경(2012).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: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일
    • -가족양립정책과 서비스를 중심으로. 한국가족복지학, 17(1), pp.5-29.
    • - 박태영, 김태한, 김혜선, 문정화, 박소영, 박진영, 신원정, 은선경, 조지용, 하태선 (2012). 질적분석을 활용한 가족치료 사례연구. 학지사
    • - 박태영, 은선경(2010). 다문화가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: 일본인 아내와 한국인 남편의 부부치료. 한국가족복지학, 30, pp.167-196.
    • - 은선경(2010).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. 한국아동복지학, 33, pp.37-74.
    • - 박태영, 김태한, 김혜선, 박소영, 유명이, 은선경, 이재령, 장윤영, 정선영, 조성희, 조용길(2009). 가족치료사례와 질적분석. 학지사
    • - 박태영, 박소영, 반정호, 성준모, 은선경, 이재령, 이화영, 조성희 역 (2009). 질적자료분석론. 학지사
    • - 정은, 은선경 (2009). 여성복지론. 창지사
    • - 박태영, 은선경(2008). 가출청소년의 가족치료 사례연구: 회기진행에 따른 변화과정을 중심으로. 가족과 가족치료, 16(2), pp.49-66.
    • - 김희주, 은선경(2007).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을 위한 대처전략에 관한 사례연구: 필리핀여성을 중심으로. 사회복지연구, 35, 33-66.
    사회활동
    • - 현, 신목종합사회복지관 운영위원장
    • - 현, 고양시원흥종합사회복지관 운영위원
    • - 현, 강감찬종합사회복지관 운영위원
    • - 현, 강서아동보호전문기관 운영위원장
    • - 현, 하안종합사회복지관 희망플랜광명센터 자문위원
    • - 현, 강서푸드뱅크마켓 운영위원장
    • - 현, 양천구 4호점 우리동네키움센터 운영위원장
    • - 현, 양천구자원봉사센터 부운영위원장
    • - 현, 강서구청 긴급지원심의위원회 위원
    • - 현, 강서구청 민간위탁적정성심의위원회 부위원장
    자격증
    • - 사회복지사 1급(1995. 2.)
    • - 청소년지도사 2급(1998. 12.)
    • - 청소년상담사 2급(2003. 10.)
  • 노혜진 교수사진

    노혜진 Noh, Hyejin

    전공
    사회복지학
    학위
   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
    직위
    조교수
    보직
    성과관리IR센터장
    전화
    (연구실) 02-2600-2563
    메일
    hjnoh@gangseo.ac.kr
    VIEW MORE >
    전공 및 학위
    •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 (B.A.)
    •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(MSW)
    •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(Ph.D)
    경력
    • - (현) 한국사회복지학회 홍보위원장,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부회장/학술위원장,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장, 중앙사회복지연구회 대외협력위원장, 한국여성학회 편집위원, 한국아동복지학회 대외협력위원,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이사, 한국사회보장학회 이사, 한국가족학회 이사
    • - (현)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분과실행위원, 서울시금융복지상담센터 운영자문위원, 서울시 약자동행사업 여성가족분과위원, 국민연금자문단
    • - (현) 강서구 지역사회보장대표협의체 위원, 강서구 생활보장위원회 위원, 강서구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격심의위원회 위원, 서울강서경찰서 경미범죄심사위원회 위원
    • - (현) 구로종합사회복지관, 가양5종합사회복지관, 기쁜우리복지관, 밝은내어르신복지센터 운영위원
    • - (전) Marquis Who’s Who 2018-2020 인명사전 등재
    • - (전) 한국사회복지학회 연구위원장,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위원장/총무위원장, 한국사회보장학회 총무위원장,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분과위원,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가족복지 위원, 한국사회보장학회 편집위원,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연구위원, 서울시 보육정책위원회 위원
    • - 2014 ~ 2017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나눔연구팀 팀장
    • - 2002 ~ 2008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선임사회복지사
    연구논문
    • -70. 노혜진(2024) 시설퇴소 청년의 자립과정, 사회와복지, 6(2)
    • -69. 노혜진(2024) 가족돌봄청년 일상의 재구성과 정서적 경험, 보건사회연구, 44(2)
    • -68. 노혜진(2024) OECD 국가의 일 생활 균형과 출산율: 일, 가족돌봄, 자기돌봄을 중심으로, 사회보장연구, 40(3)
    • -67. 노혜진 외(2024) 청년에게 지역은 어떤 의미인가? 수도권과 비수도권 청년의 인식을 중심으로, 사회복지정책, 51(2)
    • -66. 노혜진(2024)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의 분담에 대한 부부의 공정성 인식과 배우자 만족도, 한국가족복지학, 71(1)
    • -65. 노혜진(2024) Changes in the Design for Korea’s Public Assistance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cipients, Journal of Poverty.
    • -64. 노혜진 외(2023) 가족돌봄청년의 돌봄실태 및 심리정서 상태의 영향요인, 한국가족복지학, 70(4)
    • -63. 노혜진(2023) 가족돌봄청년 지원사업 현황 분석, 사회복지실천과 연구, 20(3)
    • -62. 노혜진(2023) 일-생활 균형시간 보장의 유형화, 보건사회연구, 43(2)
    • -61. 노혜진(2023) 퇴근 후 다시 일하는 근로자는 누구인가, 사회보장연구, 39(1)
    • -60. 노혜진 외(2022) 청년 과중채무의 본질과 채무조정경험: 갈망, 불안정성, 그리고 희망, 사회복지연구, 53(3)
    • -59. 노혜진 외(2022) 20년간 한국사회의 노동시간 변화: 노동시간, 시간빈곤, 시간불평등을 중심으로, 사회보장연구, 38(3)
    • -58. 노혜진 외(2022) 채무와 사회적 낙인: 과중채무자가 인식하는 채무의 의미를 중심으로, 한국사회복지학, 74(3)
    • -57. 노혜진 외(2022) 코로나19 이후 아동가구 부모의 우울 변화에서 빈곤여부에 따른 격차, 보건사회연구, 42(2)
    • -56. 노혜진 외(2022) 채무조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: 과중채무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배제의 의미, 사회복지연구, 55(2)
    • -55. 노혜진 외(2022)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운영센터의 기능재정립에 관한 연구,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, 81
    • -54. 노혜진 외(2021) 지역사회보장지수 도출에 관한 연구, 사회과학논집, 52(1)
    • -53. 노혜진 외(2021) 가족돌봄자의 돌봄반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, 사회복지정책, 48(3)
    • -52. 노혜진(2021)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 및 효율성,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, 21(6)
    • -51. 노혜진(2021) 니트상태를 경험한 청년들의 생애사, 보건사회연구, 41(2)
    • -50. 노혜진(2021) 성인가족 돌봄시간의 영향요인, 가족자원경영과 정책, 25(2)
    • -49. 노혜진 외(2020) 노인 돌봄가족은 무엇을 경험하고 필요로 하는가, 한국사회복지학, 72(4)
    • -48. 노혜진 외(2020) 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의 장기적 변화와 영향요인, 페미니즘연구, 20(2)
    • -47. 노혜진 외(2020) 근로장려금 수급이 여성의 노동공급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: 가구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, 사회복지정책, 47(3)
    • -46. 노혜진 외(2020) 저소득청소년 진로발달지원사업 참여자의 변화과정: 행위주체성의 증가, 한국청소년연구, 31(3)
    • -45. 황미경, 김현숙, 노혜진(2020) 주거취약계층의 삶의 질 증진방안 연구: 공공임대주택 입주 탈시설 노숙인을 중심으로,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, 35
    • -44. Park, M., Lee, S., Nam, K. C., Noh., H., Lee. S., and Lee, B J.(2020) An evaluation of the youth employment support program in South Korea: Focusing on the outcome of preventing NEET
    • -43. 노혜진(2019) 시간빈곤과 이중빈곤의 실태와 영향요인, 사회복지정책, 46(4)
    • -42. 노혜진, 이현옥, 김성욱(2019) 생애사를 통해 본 경제위기 20년, 사회보장연구, 35(4)
    • -41. 노혜진, 남기철, 박미희, 이봉주, 이성학, 이신혜(2019) 희망플랜(니트청년 지원사업)에 참여한 청년의 변화과정, 청소년복지연구
    • -40. 노혜진, 김현정(2019) 경제위기이후 빈곤가구의 소득이동 유형화, 사회보장연구, 35(2)
    • -39. 박미희, 이봉주, 노혜진, 박호준(2018) 청년니트 지원사업의 초기성과 분석, 한국청소년복지연구, 29(3)
    • -38. 노혜진, 이봉주, 박미희, 박호준(2018) 청년니트(NEET) 지원사업에 대한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경험, 사회복지연구, 49(2)
    • -37. 노혜진(2018) 청년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, 보건사회연구, 38(2)
    • -36. 노혜진(2018) 시간빈곤과 시간불평등의 개념 및 실태, 그리고 대안, 정책이슈, 37
    • -35. 노혜진, 황은정(2018) 가구소득별 유급노동 시간과 일-여가 균형에 관한 국가비교, 사회복지연구, 49(1)
    • -34. 노혜진, 이현옥, 김윤민(2018) 제도별 복지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 기초연금, 청년배당, 무상급식, 보육료지원을 중심으로, 사회보장연구, 34(1)
    • -33. 노혜진(2017) 관계재로서 함께하는 시간의 실태와 영향요인 및 분해, 사회복지연구, 43(3)
    • -32. 노혜진(2017) 시간빈곤과 시간불평등의 의미와 실태, 복지동향, 225
    • -31. 노혜진, 이현옥(2017). 지역재단의 운영실태와 문제점, 한국콘텐츠학회, 17(8)
    • -30. Noh, H. J., and Lee, B. J. (2017). Risk factors of NEET (Not in employment, education or training) in South Korea: An empirical study using panel data,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, 27(1)
    • -29. 노혜진(2016). 사회성과연계채권(social impact bond) 운영구조의 유형화, 사회복지연구, 47(4)
    • -28. 노혜진(2016). 한국 가족정책의 계층화, 사회복지연구, 47(3)
    • -27. 노혜진(2016). 한국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, 사회복지연구, 47(1)
    • -26. 김교성, 강정한, 노혜진, 이현옥, 박태근(2016). 한국의 나눔 종합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,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18(1)
    • -25. 노혜진(2015). 공유가치창출(CSV) 사례전달에 대한 검토: 내용분석을 중심으로, 사회과학연구, 41(3)
    • -24. 석재은, 임정기, 노혜진, 이성학(2015).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노인복지영역 배분 과제에 대한 전문가 인식,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, 46
    • -23. 석재은, 노혜진, 임정기(2015). 좋은 돌봄의 필요조건과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, 한국사회복지학, 67(3)
    • -22. Noh, H. J., and Kim, K. S. (2015). Revisiting the ‘feminisation of poverty’ in Korea: focused on time use and time poverty, Asia Pacific Journal of Social Work and Development, 25(2)
    • -21. 노혜진(2014).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, 사회복지정책, 41(4)
    • -20. 노혜진(2014). 결혼해체 전후 여성의 고용지위 변화, 한국가족복지학, 46
    • -19. 노혜진(2014). 행위주체별 자녀 돌봄시간의 배열과 계층간 차이, 사회복지정책, 41(3)
    • -18. 노혜진(2013). 급여전략과 근로전략을 중심으로 한 여성빈곤의 국가비교, 사회복지정책, 40(4)
    • -17. 노혜진(2013).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빈곤, 페미니즘연구, 13(2)
    • -16. 석재은, 노혜진(2013). 동질혼이 가구의 소득, 소비, 자산에 미치는 영향, 사회복지연구 44(2)
    • -15. 석재은, 노혜진(2013). 동질혼이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, 사회보장연구 29(2)
    • -14. 노혜진(2013). 재량시간을 중심으로 본 빈곤여성의 삶의 질, 사회복지연구 44(1)
    • -13. 노혜진(2012). 빈곤의 여성화 접근방식의 전환, 여성연구 83
    • -12. 노혜진(2012). 빈곤가구 자녀의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, 사회복지정책 39(4)
    • -11. 노혜진(2012). 가족안에서 여성은 어떻게 빈곤을 경험하는가,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, 6(2)
    • -10. 석재은, 김봉근, 노혜진(2012). 한국의 유배우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이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, 사회보장연구 28(3)
    • -9. 노혜진, 김송이(2011). (탈)상품화와 (탈)가족화를 중심으로 본 가족정책의 변화와 한계, 한국가족복지학, 33
    • -8. 노혜진(2011). 여성 행위주체성에 관한 생애단계별 고찰, 여성연구, 80
    • -7. 김교성, 노혜진(2011). 빈곤의 세대간 탈피경험, 사회복지연구, 42(1)
    • -6. 노혜진, 김교성(2010).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, 사회복지연구, 41(2)
    • -5. 김교성, 노혜진(2009). 빈곤탈피와 지속기간에 관한 실증적 연구, 사회복지정책, 36(3)
    • -4. 김교성, 노혜진(2009). 지역 빈곤의 격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’ 한국사회복지학 61(2)
    • -3. 김교성, 김성욱, 이정면, 노혜진(2008). 빈곤의 측정과 규모에 관한 연구’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, 19
    • -2. 노혜진, 김교성(2008).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가구주의 빈곤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종단연구’ 사회보장연구, 24(4)
    • -1. 김교성, 노혜진(2008).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, 사회복지정책, 34
    수탁과제 및 연구보고서
    • -51. 김성아, 최선영, 노혜진(2024) 저출산 시대 청년의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한 자생적 공동체 형성 실험 연구, 한국보건사회연구원.
    • -50. 김아래미, 노혜진, 이해님(2024) 고립은둔청년 삶의 유형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, 청년재단
    • -49. 노혜진(2024) 청년동행센터 사업평가 체계에 관한 연구, 서울시복지재단.
    • -48. 석재은, 김형용, 주은수, 노혜진(2024) 이용자 중심 사회보장 전달체계 강화방안, 사회보장위원회·한국보건사회연구원.
    • -47. 김성아, 김문길, 임덕영, 노혜진, 노현주(2024)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연구, 보건복지부·한국보건사회연구원.
    • -46. 백혜정, 김지연, 김승경, 노혜진(2023) 2023년 시설퇴소청년의 생활실태 및 정책개발,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.
    • -45. 김용하, 유건식, 서정수, 석재은, 노혜진(2023) 해사기술인 복지향상을 위한 공제제도 도입방안 연구, 해양수산부.
    • -44. 백선희, 노혜진(2023) 과천시 육아친화도시 실현을 위한 정책연구, 과천시의회.
    • -43. 김진욱, 노혜진, 김윤영, 박미진(2023) 진술과 실체의 젠더 괴리: 부부의 자녀돌봄 역할과 성평등 인식의 차이에 대한 심층연구, 한국연구재단
    • -42. 노혜진, 김성아(2023)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운영지침 연구, 보건복지부
    • -41. 김형용, 김소영, 최상미, 김수정, 노혜진, 김윤민, 오양래(2023) 2022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평가 연구, 사회복지공동모금회
    • -40. 김성아, 김문길, 조성은, 정세정, 노혜진, 김지연, 이정민(2023) 청년정책 지원대상 연구: 취약청년과 지역청년을 중심으로, 한국보건사회연구원
    • -39. 김진욱, 최영준, 노혜진(2022) 민간부문의 사회복지지출 추계모형에 관한 연구, 사회보장위원회
    • -38. 석재은, 노혜진, 최옥금, 권현정(2022) 사회보장기본계획 특정성별영향평가, 여성가족부
    • -37. 노혜진, 은선경, 김종희(2022) 제5기 강서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연구, 강서구청
    • -36. 노경혜, 정혜원, 노혜진(2022) 경기도 1인가구 기본계획 수립연구, 경기도
    • -35. 박미희, 노혜진(2022) 비구직 니트청년 지원사업 성과평가, 사회복지공동모금회
    • -34. 정혜원, 전혜숙, 노혜진(2022) 경기도 중고령 이주여성 다차원적 빈곤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, 경기도여성가족재단
    • -33. 노혜진(2020-2021) 시간의 재분배를 통한 사회복지정책의 대안모색, 한국연구재단.
    • -32. 김종건, 김윤민, 노혜진, 조자영, 유재윤(2021) 지역 배분의제 개발 연구,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31. 김용하, 석재은, 홍기석, 강성호, 노혜진, 홍성우(2021)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사학연금제도 개선연구,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.
    • -30. 이용갑, 정현진, 유애정, 박상희, 이기주, 최은희, 강하렴, 김재윤, 이주향, 이연주, 장소현, 박인태, 노미소, 전용호, 이혜진, 노혜진, 이자호, 조경희(2019-2021)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모니터링 및 효과성 분석 연구, 건강보험연구원.
    • -29. 정혜원, 노경혜, 노혜진(2021) 경기도 여성1인가구의 사회적 위험에 관한 연구, 경기도여성가족재단.
    • -28. 남기철, 홍재봉, 노혜진, 손지현(2019-2021) 청년니트 자립역량강화 지원사업 성과평가, 부산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27. 김진욱, 민인식, 노혜진, 권진, 이창문, 박수빈, 박명환(2019) 중하위 소득가구의 구성과 실태 분석,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.
    • -26. 임정기, 노혜진(2019-2020) 돌봄가족 지원사업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연구, 서울시 어르신돌봄종사자 종합지원센터.
    • -25. 류기락, 이수경, 안우진, 박상오, 노혜진, 조미라(2019) 일생활 균형 사회와 직업능력개발. 한국직업능력개발원.
    • -24. 노혜진(2019) 근로장려세제가 여성의 고용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. 한국연구재단.
    • -23. 석재은, 김용하, 김혜연, 노혜진(2018) 사회보장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. 여성가족부.
    • -22. 이봉주, 남기철, 박미희, 노혜진(2018). 배분의제 2-3차년도 성과평가: 빈곤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21. 노혜진(2018). 니트청년 생애사 연구. 한국연구재단.
    • -20. 이봉주, 박미희, 노혜진(2017). 배분의제 1차년도 성과평가: 빈곤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9. 강철희, 김미옥, 노혜진, 박혜경, 오양래(2017). 아너 소사이어티 성과분석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8. 김교성, 류덕현, 이원영, 노혜진, 유재윤(2017).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사회경제적 성과 분석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7. 안상훈, 김수완, 김영미, 노혜진(2017). 나눔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와 모금회의 대응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6. 김성욱, 김교성, 노혜진, 이용재, 이연정(2016). 외환위기 20년, 우리는 어떻게 살아왔는가?: 한국 복지체제의 재검토와 다차원적 생애과정의 궤적 연구.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과제.
    • -15. 이봉주, 석재은, 김미옥, 남기철, 임정기, 김동기, 노혜진, 조주희, 유재윤(2016). 배분의제 성과평가 설계 연구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4. 노혜진(2017) 2016년 빈곤의제조사 기초분석보고서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3. 홍경준, 임정기, 노혜진, 오양래(2016). 지정기탁사업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연구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2. 이봉주, 남기철, 노혜진(2015). 핵심의제 성과지표 개발 연구(빈곤의 대물림)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1. 김교성, 강정한, 노혜진(2015). 한국의 나눔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10. 노혜진(2015). 의제기반 지역실태 및 복지지표 연구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9. 라준영, 노혜진(2015). Social Impact Bond 관련 모금 및 배분전략 연구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8. 이봉주, 석재은, 김미옥, 박정민, 노혜진(2015). 공동모금회 의제 및 성과지표 도출연구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7. 강철희, 민인식, 김교성, 노혜진(2015). 2015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분석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6. 김교성, 이용재, 김성욱, 노혜진(2014) 사회보장제도의 불평등구조와 사회계층화.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과제
    • -5. 석재은, 임정기, 노혜진, 이성학(2014). 사회적 임팩트 향상을 위한 배분분야별 연구: 노인. 사회복지공동모금회.
    • -4. 석재은, 임정기, 노혜진(2014). 좋은 돌씀봄을 위한 실천적 전략 연구. 서울시 어르신돌봄종사자 종합지원센터.
    • -3. 장미혜, 문미경, 최인희, 석재은, 노혜진(2013). 여성노인의 노후빈곤 현황 및 대응정책. 한국보건사회연구원.
    • -2. 김교성, 김수연, 노혜진, 김송이(2009). 관악구 제2기 중기(2011~2014)지역사회복지계획. 관악구청.
    • -1. 최복천, 곽지영, 노혜진(2008). 여성장애인 임신·출산·양육에 관한 지원방안 연구. 한국장애인개발원.
    저서
    • - 김교성, 노혜진 (2010). 한국의 빈곤. 서울 : 나눔의 집
    수상
    • - 2021. 보건복지부 장관상
    • - 2019.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올해의 우수논문상
    • - 2014. 한국사회보장학회 올해의 우수논문상
    • - 2010. 제2회 여성가족패널 학술대회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장려상
    • - 2007. 제1회 자활사업 논문공모전 대상
  • 김종희 교수사진

    김종희 Kim, Jonghee

    전공
    사회복지학
    학위
    University of Utah 사회복지학 박사
    직위
    조교수
    보직
    사회복지학과장, 남북통합지원센터장
    전화
    (연구실) 02-2600-2569
    메일
    jonghee.k@gangseo.ac.kr
    VIEW MORE >
    전공 및 학위
    • University of Utah 사회복지학 박사 (Ph.D)
    •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(MSW)
    •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학사 (B.A.)
  • 염태산 교수사진

    염태산Yeom, Taesan

    전공
    사회복지학
    학위
   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
    직위
    조교수
    보직
    사회복지대학원장, 일반대학원 협동과정 사회복지전공주임교수, 장애학생지원센터장
    전화
    (연구실)02-2600-2557
    메일
    ytssay@gangseo.ac.kr
    VIEW MORE >
    전공 및 학위
    •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
    •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
    •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문학사
    경력
    • - 2023.4 – 현재 성내종합사회복지관 지역밀착형실천 분야 자문위원 외 다수
    • - 2021.1 – 2022.12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연구분과 위원
    • - 2020.8 - 현재 서울영동주간보호센터 운영위원
    • - 2018.3 – 2023. 8.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원
    • - 2016.7 – 2018.6 서울 송파구 아동·청소년육성위원 및 아동·청소년 정책조정 실무위원
    • - 2009.3 – 2023. 8. 서울대, 강서대, 숭실대, 동덕여대, 덕성여대 등 강사 역임
    • - 2009.1-12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책임연구원
    • - 2001.11 - 2008.12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(과장)
    연구논문
    • - 황우람,염태산(2023). Q방법론을 활용한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민간공모지원사업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. 한국사회복지학. 75(1): 85-114
    • - 염태산. (2022). 코로나19시기 서울시 3종 복지관의 대응 과정 연구: 코로나19 대응지침은 현장을 어떻게 변화시켰나.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. 16(2): 163-190
    • - 염태산. (2022).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– 사회복지사의 일 지식을 중심으로. 한국지역사회복지학. 82: 53-86
    • - 김주옥,염태산(2022). 장애인자립생활주택에서의 탈시설 발달장애인 자립이념 실천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: A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지원사를 중심으로. 한국장애인복지학. 55: 7-41
    • - 염태산. (2018). 발달장애인서비스에서 보호자 신뢰형성과 신뢰행동 선택기제 연구. 한국장애인복지학. 42: 5-45
    • - 염태산,김경민,홍은주. (2017).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청소년 어머니의 프로그램 선택 과정 연구. 한국장애인복지학. 35: 241-278
    • - 최소연,염태산 (2009). 사회복지전문가 자기효능감 척도 타당성 연구.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. 22: 143-168
    저서
    • - 서동명,윤상용,이승기,염태산. (2022). 장애인복지론(3판). 서울: 신정 (2판부터 참여)
    • - 권지성,염태산 (2019). 사회복지 질적 평가방법론. 파주: 공동체
    • - 최소연,염태산,권지성 외 (2007).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척도집. 서울: 나눔의 집
    • - 양옥경,염태산 외 (2004). 사회복지와 탄력성. 서울: 나눔의 집 (번역서,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)
  • 김고은 교수사진

    김고은 Kim, Koeun

    전공
    사회복지학
    학위
  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
    직위
    조교수
    보직
     
    전화
    (연구실)02-2600-2552
    메일
    kke@gangseo.ac.kr
    VIEW MORE >
    전공 및 학위
    •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(Ph.D)
    •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석사(MSW)
    •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, 사회사업학 복수전공 학사(B.A.)
    경력
    • - 2022.01~2025.02 서울시 중랑구 재가노인복지기관 관장
    • - 2022.01~2025.02 중랑구 사회복지협의회 위원
    • - 2021.01~2025.02 전국방문요양·목욕기관협회 학술, 교육자문 위원
    • - 2023.07~2023.12 서울시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지표개선위원회 위원
    • - 2017.03~2018.02 숭의여자대학교 산학협동위원회 위원
    • - 2008.10~2021.12 여명재가장기요양기관 대표 겸 기관장
    • - 2008.03~2010.12 여명요양보호사교육원 원장
    연구논문
    • - 박연주,한창근,김고은(2024). 영유아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보육교사 행위의 신체적 학대 성립 여부에 관한 판례연구.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. 50:113-141.
    • - 박연주,김고은(2023). 피학대아동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: 법학 및 사회복지학 연구를 중심으로. 한국보육학회. 23(3):43-58.
    • - 김고은(2023). 아이돌봄지원사업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. 한국보육학회. 23(2):29-39.
    • - 김고은(2023).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종사자의 이직의도 결정에 관한 매개모형 검증. 한국장기요양학회. 11(1): 171-196.
    • - Eun Joo Go, Jung Won Kong & Ko Eun Kim(2017). A Meta-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ltreatment Withnessing Domestic Violence, and Bullying among Youths in South Korea. Social Work in Public Health.
창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