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Sung, Y., Nam, T.-H., & Hwang, M. H. (2020). Attachment style, stressful events, and Internet gaming addiction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.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, 154, 109724.
- Sung, Y. (2019). Korean young adults’ perceptions of fathers’ gender role conflict, depressive symptoms, and paternal relationship quality: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’ violence. Asia Pacific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, 1-17.
- Sung. Y. & Skovholt. Thomas. (2019). Master Group Counselors’ Case Conceptualizations.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. 44(2), 118-137.
- 성윤희(2019). 아동기 주관적 행복감과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. 초등상담연구. 18(4), 509-524.
- 성윤희, 정주리(2019). 가부장적 가정환경이 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: 성차별적 인식과 남성 성역할갈등의 매개효과. 아시아교육연구, 20(2), 547-567.
- 성윤희, 정주리(2019). 지도교수와의 작업동맹과 이공계 대학원생의 우울 간의 관계: 공학전문가 목표인식의 매개효과. 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. 31(3), 809-825.
-Thapa, P., Sung. Y., Klingbeil, D., Lee, C., & Klimes-Dougan, B. (2016).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Messages for Asian Americans. Behavioral Science. 5(4), 547-564.
- Sung, Y. & Turner, S. (2013). Career Development Skills, Outcomes, and Hope among College Students.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. 1-19.
- Kwon, K., Kim, J., & Gye, E.,(2019). Korean Counseling Students’ Perceptions of Dual Relationships in Group Counseling Coursework.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, 9(2), 17-37.
- 권경인, 계은경, 김지연(2017).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: 어려움과 대안을 중심으로. 상담학연구, 18(1), 181-204.
- 권경인, 김지연, 계은경(2017).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: 내용, 방법, 성과를 중심으로,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, 17(4), 1-25.
- 홍지선, 계은경(2016). 여성진로장벽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. 상담학연구, 17(3), 225-250.
- 권경인, 김지연, 계은경(2016). 집단상담 강의 운영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탐구. 상담학연구, 17(4), 159-184.